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201b1a94ca9a3ec2243bf1c94026a852aebdd274" / 매복 사랑니란? 왜 생기는 걸까?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매복 사랑니란? 왜 생기는 걸까?

by myblog-12 혀나의 블로그 2025. 3. 14.

매복사랑니는 왜 생기는걸까? 발치방법과 염증증상

매복 사랑니(매복니)는 치아가 정상적으로 잇몸을 뚫고 나오지 못하고 잇몸이나 턱뼈 속에 갇혀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사랑니는 보통 17~25세 사이에 나오는 세 번째 큰 어금니(제3대구치)이며, 공간 부족, 치아의 비정상적인 성장 방향 등의 이유로 매복될 수 있습니다.

 

매복 사랑니가 생기는 원인

  1. 공간 부족: 현대인의 턱 크기가 점점 작아지면서 사랑니가 나올 공간이 부족해집니다.
  2. 비정상적인 치아 각도: 사랑니가 바른 방향으로 자라지 못하고 옆으로 기울거나 거꾸로 자라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유전적 요인: 부모님 중 사랑니가 매복된 경우 자녀에게도 같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잇몸 덮개 문제: 사랑니가 완전히 나오지 못하고 일부만 노출되면서 잇몸이 덮이게 되면 염증이 생길 위험이 큽니다.
  5.  

 

매복 사랑니 발치, 일반 치과 vs. 대학병원 어디로 가야 할까?

매복 사랑니 발치는 난이도에 따라 일반 치과 또는 대학병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일반 치과에서 발치해야 하는 경우

  • 사랑니가 완전히 나와 있고, 비교적 쉽게 발치할 수 있는 경우
  • 부분 매복이지만 간단한 수술로 제거 가능한 경우
  • 특별한 합병증(신경 손상 위험 등)이 없는 경우

 

대학병원에서 발치해야 하는 경우

  • 사랑니가 깊이 매복되어 있거나 턱뼈와 밀착되어 있는 경우
  • 아래턱 신경과 가까워 신경 손상의 위험이 있는 경우
  • 사랑니 주변에 낭종(물혹)이나 종양이 있는 경우
  • 전신 질환(당뇨병, 고혈압 등)이 있어 발치 과정에서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한 경우

치과에서 X-ray 또는 CT 촬영 후 대학병원 의뢰가 필요한 경우, 일반 치과에서 대학병원으로 전원 조치를 해줍니다.

 

매복 사랑니 염증 증상과 주의해야 할 사항

매복 사랑니가 있는 경우 염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염증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매복 사랑니 염증 증상

  1. 잇몸 통증: 사랑니 주위 잇몸이 붓고 아픕니다.
  2. 부종 및 열감: 턱과 볼이 붓고 열이 날 수 있습니다.
  3. 입을 벌리기 어려움(개구 장애): 염증이 심해지면 입을 벌리는 것이 힘들어집니다.
  4. 악취 및 구취: 염증으로 인해 입 냄새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5. 고름 분비: 사랑니 주위에서 고름이 나올 수 있습니다.
  6. 두통 및 귀 통증: 사랑니 주변 신경이 자극받아 머리나 귀에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빨사진

 

매복 사랑니를 반드시 발치해야 할까?

매복 사랑니가 반드시 발치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발치를 하지 않고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발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 사랑니가 정상적으로 자라고 있으며, 충치나 염증이 없는 경우
  • 사랑니가 주변 치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
  • 사랑니가 완전히 매복되어 있고,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발치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

  • 지속적인 염증(치주염, 농양 등)이 발생하는 경우
  • 주변 치아를 밀거나 손상시키는 경우
  • 충치가 생기거나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자주 끼는 경우
  • 악골(턱뼈) 낭종이 형성된 경우
  • 교정 치료 시 공간 확보를 위해 발치가 필요한 경우

 

매복 사랑니 관리법: 발치를 하지 않는 경우

사랑니를 발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사랑니 관리 방법

  1. 철저한 구강 위생 유지
    • 하루 2~3회 양치질(특히 자기 전)
    • 치실과 구강 세정기를 사용해 치아 사이 음식물 제거
    • 항균 구강청결제(클로르헥시딘 등) 사용
  2. 정기적인 치과 검진
    • 6개월~1년에 한 번 치과 방문하여 X-ray 검사
    • 염증 발생 여부 및 치아 상태 점검
  3. 사랑니 주변 염증 예방
    •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맵거나 뜨거운 음식)
    • 잇몸이 붓거나 통증이 있으면 즉시 치과 방문
  4. 초기 염증 대응
    • 가글(소금물, 항균 가글제)로 구강 세척
    • 얼음찜질로 통증과 붓기 완화
    • 필요시 치과에서 처방받은 항생제 복용

 

매복 사랑니, 꼭 발치해야 할까?

매복 사랑니는 무조건 발치할 필요는 없지만, 염증이 자주 발생하거나 주변 치아에 악영향을 미칠 경우 발치를 고려해야 합니다. 발치가 필요하다면 일반 치과와 대학병원의 차이를 잘 이해하고 적절한 곳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랑니를 유지하기로 했다면 꾸준한 관리와 정기 검진을 통해 건강한 구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